배너
닫기

디지털라이프

배너

백내장 수술 전 체크 포인트는?

URL복사
[무료 웨비나] 진동 신호를 이용한 산업용 모터 및 회전체 설비 AI 예지진단 솔루션 (6/5)

백내장은 눈의 수정체가 혼탁해져 발생하는 대표적인 안질환이다.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거나 심한 경우에는 어지러움과 두통도 동반하는 등 합병증으로 발전할 수도 있어 치료가 불가피하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이라 하더라도 사람의 본래 수정체만큼 완벽하지는 않으므로 초기에는 약물로 진행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는 방법을 선택하기도 한다. 조금 더 진행된 상황이라면 수정체를 적출해 발병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고, 인공수정체 렌즈 삽입하는 등의 수술을 진행한다. 


전문의들에 따르면 이 경우 개개인의 눈에 맞는 인공수정체를 삽입해야 하고, 한 번 수술을 받으면 시간이 경과한 후 재수술이 쉽지 않을 수 있어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


이들은 “수술 전에는 △발병 여부에 대한 정확한 확인 △수술 필요성과 진행 정도에 대한 직접적인 진단 △수술 효과에 대한 충분한 정보 △수술 후 사후관리 등을 살펴보는 것이 좋다”고 설명한다. 


백내장이 맞다면, 시기를 놓치지 않고 적당한 시기에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며, 개인의 눈 상태에 맞는 인공수정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눈의 건강상태를 비롯해 직업, 생활습관, 병력, 가족력, 수정체의 크기, 노화 정도, 병의 진행상태 및 밀도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했다.


인공수정체는 원거리 또는 근거리 중 하나의 초점을 교정하는 단초점과 두 가지 모두 교정할 수 있는 다초점이 있다. 다초점의 경우에는 초점거리를 다양하게 맞추고, 수술 후 돋보기를 착용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압구정안과의원 고병우 대표원장은 “백내장은 진행될수록 수술이 까다로워지며,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면 녹내장이나 홍채염 등 다양한 합병증으로 번질 우려도 있다”면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으며 눈의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