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디지털라이프

배너

전염성 있는 편평사마귀 치료법은?

URL복사
[무료 웨비나] 미래의 자동차 조명을 재조명하다: Analog Devices의 혁신적인 솔루션 (5/29)

환절기에는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각종 피부 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단순한 피부 트러블이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호전될 수도 있다. 하지만 사마귀의 경우는 주의하는 게 바람직하다.


관련 전문의들에 따르면 사마귀는 다른 피부 트러블과 구분이 힘든 질환이다. 발생하는 위치나 원인에 따라 종류도 다양한데, 피부 표면에 편평하게 나타나는 편평성사마귀, 과다하게 돌출된 형태의 심상성사마귀, 손발바닥에 마치 티눈과 비슷한 형태의 수장족저 사마귀 등이 있다고 설명한다.

 


이 가운데 편평사마귀는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바이러스 질환으로 전염성이 있기 때문에 초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이들 전문의는 만약 편평사마귀를 손으로 뜯어내거나 긁으면 우윳빛 피지나 진물 등이 흘러나오는데, 이때 다른 부위를 만지면 사마귀가 번지거나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도 있다고 덧붙인다.


치료법은 다양하다. 사마귀의 위치, 크기, 숫자, 환자의 나이, 면역 상태 등에 따라 면역치료, 약물치료, 약침치료, 뜸치료, 레이저치료 등이 있다. 


이상민 아이러브피부과 원장은 “레이저 치료의 경우 병변 하나하나에 레이저를 조사하며 효과를 높일 수 있다”면서 “특히 Er:Yag 레이저는 흉터나 통증, 붉어짐 등이 적어 기미, 잡티, 색소침착 등을 동반한 경우에도 치료가 가능하고, 간혹 편평사마귀가 전신에 번진 경우에는 면역을 증강시키기 위한 약물치료를 병행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편평사마귀는 피부과 전문의들의 정확한 증상 파악과 그에 맞는 적합한 치료법을 적용하는 게 필요하다”며 “생활습관과 충분한 수면, 홈 케어를 통한 피부 관리를 생활화하고 평소에 없던 돌기나 증상이 발현된다면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