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수소차 시장 선점에 정부와 국내 주요 기업이 나섰다. 민·관은 2022년까지 2조 6,000억 원을 투자해 3,8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 기간 동안 수소차를 1만 6,000대 보급하고, 수소충전소를 310기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서울 그랜드인터컨티넨탈에서 수소차 관련업계와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혁신 2020 플랫폼’ 2차 회의를 열고 수소차 산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권문식 현대자동차 부회장, 권한주 효성중공업 대표, 이재훈 SK가스 사장, 김형근 한국가스안전공사 사장 등 수소차 생태계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글로벌 수소차 시장의 선점을 위해 민관이 전략적으로 협력해 수소차, 수소충전소, 수소에너지에 이르는 수소차 산업생태계를 조기에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우선, 참석자들은 글로벌 수소차 시장 선점을 위해 2018년 1,900억 원, 2019년 4,200억 원 등 2022년까지 2조 6,000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또 2020년 수소차 생산공장 증설, 2021년 연료전지 스택공장 증설 등을 추진할 계획도 갖고 있다.
산자부는 2022년까지 수소차 1만 6,000대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해 2019년 수소버스 보조금 신설, 운송사업용 수소버스 취득세 50% 감면, 2022년까지 수소차 보조금 유지 등 정부의 수소차 지원이 적기에 이뤄지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또한 산자부는 2022년까지 백금촉매 저감 및 대체 촉매 기술개발, 스택 부품 완전 국산화 등 주요 부품소재에 대한 연구개발(R&D) 1,250억 원을 지원해 국내 부품·소재업체의 기술력을 제고할 예정이다.
정부는 올해 서울과 울산을 시작으로 2019년 전국 5개 도시 시내버스 정규노선에 수소버스를 투입해 국민이 일상에서 쉽게 체감할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향후에는 시내버스에 그치지 않고, 고속버스로 확대해 2022년까지 1,000대의 수소버스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수소에너지 가격을 경유·액화석유가스(LPG)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기 위해 수소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 및 유통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위해 2019년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활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P2G(Power to Gas)시스템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산자부는 수소차 생태계 조성을 위한 민관의 전략적 협력과 투자를 통해 2018년 400개, 2019년 480개 등 2022년까지 38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백운규 산자부 장관은 “이제 민간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인 성과를 보일 수 있도록 글로벌 수소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과감한 선제투자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