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원리와 구성 및 단독운전검출과 FRT 요건 (2)

URL복사

FRT(사고시 운전 계속) 요건(계통연계규정 JEAC 9701-2012) 


태양광발전설비 등이 미래에 대량으로 연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계통사고로 광범위한 순시전압저하와 대규모계통전원 탈락 또는 계통분리로 인한 주파수변동으로 분산형 전원의 일제분리 및 출력저하가 계속 발생하면 계통전압·주파수 유지에 커다란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계통연계규정 JEAC 9701-2012」에서 순시전압저하와 주파수변동에 대해 사고시 운전 계속(FRT : Fault Ride Through) 요건이 새로이 규정됐다.


(1) 단상(單相) 인버터

2017년 4월 이후에 저압과 고압배전선에 연계되는 태양광발전용 단상 인버터에 적용될 FRT 요건은 <그림 1>과 같다. 전압저하 내량(耐量)에 관해서는 전압저하기간은 1초 이하이며 잔류전압이 20% 이상에서는 운전을 계속하고, 전압복귀 후 0.1초 이내로 순시전압저하 전 출력의 80% 이상, 잔류전압 20% 미만에서는 운전 계속 또는 게이트 블록하여 전압북귀 후 1.0초 이내로 순시전압저하 전 출력의 80% 이상이 되는 출력복귀특성이 규정됐다. 2017년 3월 말까지 연계되는 것에 대해서는 이보다 요건이 느슨해졌다.


▲ 그림 1. 단상 태양광발전설비의 FRT 요건(2017년 4월 이후에 연계하는 것)

㈜2018년 4월 이후에 연계되는 축전지설비, 연료전지설비에 대해서도 동일한 요건이 적용


주파수변동내량에 관해서는 시스템 상승의 상한치는 정격주파수의 101.6%로 상승기간은 0.06초 이하이다. 램프 상승·하강은 변화율 ±2Hz/s로 상한치는 정격주파수의 103%, 하한치는 95%이며, 이 상·하한치를 OFR·UFR의 정정치(整定値)로 한다. 이러한 주파수변동 내에서는 운전을 계속해야 한다.


고압측이 Y결선, 저압측이 △결선이며 각(角) 변위가 330°(저압측 전압위상은 고압측 전압위상에 대해 30° 진상)의 주상변압기에서, 고압측에서 잔전압 20%(사고시의 전압이 정격전압의 20%)의 3상 단락사고가 발생한 경우의 고압측과 저압측의 전압 벡터도는 <그림 2>와 같다. 고압측과 저압측의 사고시의 전압은 정격치(定格値)의 20%가 되지만 위상변화는 없다. 고압측에서 잔류 전압 20%의 b-c상 단락사고가 발생한 경우의 전압 벡터도는 <그림 3>과 같다.


▲ 그림 2. 고압측 잔류전압 20%의 3상 단락사고시의 전압 벡터도 (출처 : 계통연계규정 JEAC 9701-2012)


▲ 그림 3. 고압측 잔류전압 20%의 b-c상 단락사고시의 전압 벡터도 (출처 : 계통연계규정 JEA 9701-2012)


저압측의 a-b상, b-c상 선간전압은 52%이며, 위상변화는 각각 41° 지상, 41° 진상이 된다. c-a상 선간전압은 크기, 위상 모두 변하지 않는다. 주상(전주)변압기 결선이 V-V결선 등의 경우에는 불균형사고에 대한 저압측의 전압 벡터도는 이것과는 다르다는 점에 주의하기 바란다.


제2편에서 언급한 제어회로가 있는 단상 인버터가 주상변압기의 저압측의 a-b상에 연계되어 있는 조건에서 고압측의 잔류전압 0%의 3상 단락사고와 잔류전압 20%의 2상 단락사고가 발생한 경우의 FRT 성능의 시뮬레이션 조건과 결과는 <표1>, <그림 4>, <그림 5>와 같다.


▲ 표1. 단상 인버터의 FRT 성능 시뮬레이션 조건과 결과


▲ 그림 4. 단상 인버터의 FRT 성능 시뮬레이션 결과(고압측 잔류전압 0%의 3상 단락사고)


▲ 그림 5. 단상 인버터의 FRT 성능 시뮬레이션 결과 고압측 잔류전압 20%의 b-c상 단락사고


<그림 4>처럼 3상 단락사고시의 인버터 전압·출력 전력은 제로가 된다. 그러나 인버터 전류는 사고전후로 불변이다. 전압복귀 직후의 인버터 출력전력이 사고 직전의 80% 출력으로 회복되는 출력복귀특성은 20ms이며 FRT 요건의 1초 이내를 충족시키고 있다.


<그림 5>에 고압측에서 잔류전압 20%의 b-c상 단락사고가 발생한 경우의 FRT 성능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사고시의 인버터 전압·출력전력은 약 50%가 되며 전압위상은 변한다. 그러나 인버터 전류는 사고전후로 불변이다. 전압복귀 직후의 인버터 출력전력이 사고 직전의 80% 출력으로 회복되는 출력복귀특성은 4ms이며 FRT 요건의 0.1초 이내를 충족시키고 있다.


(2) 3상 인버터

2017년 4월 이후에 저압과 고압 배전선에 연계되는 태양광발전용 3상 인버터에 대해 규정된 FRT 요건의 전압저하내령에 관해 <그림6>의 단상 인버터와 다른 점은 전압저하기간뿐이며 이것이 0.3초 이내가 되고, 주파수변동내량은 동일하다. 2019년 10월 이후에 연계되는 축전지와 연료전지에 대해서도 동일한 요건이 적용된다.


▲ 그림 6. 3상 인버터의 FRT 선은 시뮬레이션 결과(고압측 잔류전압 0%의 3상 단락사고)


앞서 언급한 3상 인버터의 제어회로가 있는 인버터가 구내변압기(Y-△결선)의 저압측에 연계된 조건에서, 고압측에 잔류전압 0%의 3상 단락사고와 잔류전압 20%의 2상 단락사고가 발생한 경우의 FRT 성능 시뮬레이션 조건과 결과는 <표 2>, <그림 6>, <그림 7>과 같다.


▲ 표 2. 시뮬레이션 조건과 결과


▲ 그림 7. 3상 인버터의 FRT 성능 시뮬레이션 결과(고압측 잔류전압 20%의 b-c상 단락사고)


<그림 6>처럼 3상 단락사고시의 인버터 전압과 출력전력은 제로가 되지만 인버터 전류는 불변이고, 출력복귀특성은 10ms이며 FRT 요건의 1초 이내를 충족시키고 있다.


<그림 7>처럼 2상 단락사고시의 인버터 출력전력은 약 50%로 저하되고, 기본주파수의 배(倍)가 되는 진동성분이 나타난다. a-b상, b-c상 선간전압은 약 50%로 저하되고 위상도 변한다. c-a상 선간전압의 크기·위상은 변하지 않으며, 인버터 전류도 불변이다. 출력복귀특성은 10ms이며 FRT 요건의 0.1초를 충족시키고 있다. 


※본 기사는 「그림으로 해설한 분산전원(태양광, 풍력 발전 등)의 고·저압 배전선 계통연계」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