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2018년 전기산업 동향 및 전망] 2018년 전기산업 정책...에너지 전환과 4차 산업혁명 대응 에너지신산업 기술혁신에 투자 집중

URL복사

산업통상자원부는 17개 에너지공기업의 2018년도 연구개발 투자계획을 점검하고 투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에너지공기업들은 에너지 전환과 4차 산업혁명 대응 에너지신산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해 연구개발 투자를 집중함으로써 정부와 함께 혁신성장 견인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산업부 산하 17개 에너지공기업은 2018년 연구개발에 총 1조 2,063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는 전년도 집행액 대비 478억 원(4.1%) 증가했으며, 정부의 투자 권고(2017.11, 국과심 운영위) 금액 대비 1,129억 원(10.3%)을 상회하는 규모이다.


▲ 기관별 2018년도 예산 현황 (단위 : 억원)


에너지공기업들은 에너지 전환과 4차 산업혁명 대응 에너지신산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해 연구개발 투자를 집중함으로써 정부와 함께 혁신성장 견인에 앞장설 예정이며, 지진 대응, 미세먼지 저감 등 국민안전과 직결된 사회문제 해결 기술에도 투자할 계획이다.


한국전력은 슈퍼그리드, 스마트에너지시티, 차세대 풍력 등 ‘10대 핵심전략 기술’을 선정하고 동 분야에 ’18년에만 총 895억 원을 투자하는 한편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A ICBM(AI, IoT, Cloud, Big data, Mobile) 등 핵심 기술과 신소재 기술 및 운영기술 고도화에도 845억 원을 투자한다. 


한수원은 내진성능 향상 등 가동원전의 안전성 강화기술에 707억 원, 수출형 원전 기술 고도화에 330억 원, 고리 1호기 해체를 대비한 미확보 상용화 기술과 사용후 핵연료 관리기술에 129억 원을 투자한다. 


가스공사는 지능형 배관망 계통운영 및 내진성능평가 등에 47억 원, 수소 제조·저장 및 연료전지 시스템 실증 등에 32억 원을 투자, 남동발전은 화력발전소 미세먼지 저감 설비, 영동 2호기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인공지능 기반 발전설비 고장 예지진단 및 분석기술 개발 등에 87억 원을 투자한다. 


산업부는 분기별 실무협의회를 개최하여 공기업 연구개발(R&D) 투자 현황을 지속 점검하는 한편 정부와 공기업의 연구개발 연계성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라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공기업도 전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시켜야 할 시기이며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 등을 통해 에너지신산업 혁신 성장을 선도할 뿐만 아니라 내진성능 향상, 미세먼지 저감 등으로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에너지 연구개발(R&D)에 투자하고 정부와의 역할분담 및 협력을 통해 공공부문 연구개발 투자 효율성 제고에 힘쓸 예정이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