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국·말레이시아, 中 향하는 AI 반도체 조립 및 유통 중간거점 역할 도맡아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으로의 인공지능(AI) 반도체 밀반입을 막기 위해 태국과 말레이시아를 통한 우회 수출 경로에 제재를 가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블룸버그는 4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 상무부가 해당 내용을 담은 수출 규제 초안을 마련 중이라고 보도했다.
초안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는 엔비디아를 포함한 미국산 첨단 AI 반도체가 태국과 말레이시아를 거쳐 중국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두 국가는 현재 AI 반도체 조립 및 유통의 중간 거점 역할을 하고 있어, 우회 경로 통제로 중국 기술 확산을 강력히 견제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다만 블룸버그는 해당 규제가 아직 최종 확정되지 않았으며, 추후 내용이 변경될 여지도 있다고 전했다.
이번 조치는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도입된 글로벌 AI 반도체 수출 규제인 ‘AI 확산 프레임워크’와는 상반된 방향으로 진행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동남아 2개국에 대한 표적 규제를 시행하는 대신, 바이든 정부가 시행한 전 세계 차등 수출 규제는 폐지할 방침이다. AI 확산 프레임워크는 국가를 동맹, 일반, 우려국 등으로 구분해 수출을 통제하는 정책으로, 올해 1월부터 본격 시행돼 왔다.
다만 중국에 대한 고강도 수출 규제는 그대로 유지될 전망이다. 이는 트럼프 1기 때 시작돼 2022년 이후 지속적으로 강화된 조치로, 미국은 반도체 장비와 고성능 AI 칩 수출을 제한해 왔다. 이와 함께 러시아, 북한 등 40여 개국을 대상으로 한 기존 규제도 유지된다.
한편, 블룸버그는 미 상무부가 예고한 단순하고 명확한 규정 개편이 실제로는 포괄적인 개정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도 제기했다. 특히 미국산 AI 칩이 해외 데이터센터에서 사용될 때 필요한 보안 조건에 대한 언급이 빠져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목된다. 중동 지역처럼 엔비디아 칩 대량 구매가 이루어지는 시장에서는 향후 보안 요건 논란이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미 상무부는 이번 보도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