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최광현·정숙향 교수 연구팀 연구 결과
국내 C형 간염 환자 2000여명 대상 코호트 연구로 입증
C형 간염을 치료할 경우, 미치료군에 비해 간암 발병 및 사망 위험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C형 간염은 간암 및 간 관련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로 평가된다. 대부분의 C형 간염 환자에서 증상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어려워 간경변증·간암 등 중증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 질환이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최광현·최숙향 교수 연구팀은 2007년부터 2019년까지 전국 7개 대학병원 C형 간염 환자 2054명을 대상으로 코호트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대상은 미치료군 619명, 인터페론 주사 치료군 578명, 경구용 항바이러스제제 치료군 857명이다. 해당 연구는 C형 간염 치료군과 미치료군과의 간암 발병 및 사망 관련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경구약물을 통해 치료했을 때 C형 간염 완치율은 95.3%다. 미치료군과 비교했을 때 간암 발생 위험은 59%, 간 질환 관련 사망 위험은 74%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페론 주사제 및 경구약물 등 치료 방법과 간암 발생 위험 및 사망 위험과의 연관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최광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경구약물로 C형 간염 치료가 가능하며, 그 예후가 상당히 좋아진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한편, 정부 및 학회는 C형 간염의 무증상 특성을 고려해 C형 간염 검사의 국가건강건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