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말까지 1,200명 검사·AI 개발…보호자용 앱 등 활용 지원
SK텔레콤과 서울대학교병원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영유아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여부와 장애 정도를 조기에 진단하는 '영유아 발달진단 AI 리빙랩'을 마련했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영유아 발달진단 AI 리빙랩은 행동 진단 AI 기술에 기반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영유아를 조기에 진단하는 검사 공간으로, 서울대병원과 가까운 서울시 종로구에 마련됐다.
SK텔레콤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자폐 스펙트럼 조기 진단과 치료를 담당할 전문인력이 부족한 형편이다.
자폐 스펙트럼은 만 18개월부터 조기 진단이 가능하지만, 진료가 가능한 병원 예약이 밀려 있어 통상 만 5세가 되어서야 진료를 받을 수 있을 정도로 환자와 의료기관 어려움이 큰 상황이다.
SK텔레콤과 서울대병원은 AI 모델 정교화를 위해 내년 말까지 자폐 고위험군 아동 등 1,200명을 검사하고, 개발한 AI를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로 제공해 보호자용 애플리케이션이나 전문가 임상 진단시스템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들은 고성능 카메라 등 전문 행동 관찰 검사 장비를 갖춘 AI 리빙랩을 통해 조기에 고위험군을 선별하고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AI 리빙랩에서 측정한 데이터와 AI 분석 결과 등을 종합해 의학적 장애 여부를 판정한 뒤 장애 판정을 받은 아동은 패스트트랙을 통해 조속한 치료를 도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AI 기술을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도 활용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최신 AI 기술 트렌드 및 비즈니스 융합 인사이트를 제시하는 ‘AI 융합 비즈니스 개발 컨퍼런스 2023(AI Tech 2023)’이 오는 5월 10일(수) 코엑스 3층 E홀(E1-E4, E6)에서 열린다.
AI Tech 2023은 스마트미디어그룹 ㈜첨단과 산업포털 헬로티, 서울메쎄 인터내셔널이 주최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공지능협회, 인공지능신문이 후원한다. 컨퍼런스 참가는 마케팅 플랫폼 두비즈 홈페이지에 접속해 등록할 수 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