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8일 서울 강남에 폭우가 강타하며 페라리에서 포르쉐까지 수억 원을 호가하는 최고급 외제차들이 침수된 것으로 확인됐다.
폭우로 인한 침수의 경우 대부분 차량이 회복 불능으로 전손 처리되는 경우가 많아 손해보험사들은 이례적인 외제차들의 대규모 침수로 인해 보상에 비상이 걸렸다.
10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 DB손해보험, 현대해상, 메리츠화재, KB손해보험 등 대형 손해보험사에 지난 8일 폭우로 접수된 외제차만 1천여대에 달한다.
이 가운데는 5억원을 훌쩍 넘는 페라리도 침수 차량으로 피해 접수가 됐으며 벤츠 S클래스, 포르쉐 파나메라, 벤틀리 등 초고가 차량도 줄을 이었다.
일반적으로 손보업계에서는 태풍이나 폭우로 인한 차량 침수 시 전손 처리 등을 고려해 대당 1천만원 정도를 손해액을 추정한다. 그러나 이번 폭우는 외제차가 밀집한 강남 지역을 강타하는 바람에 손해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손보사는 비상 회의를 열면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한 손해보험사 관계자는 "고가 외제차들의 차량 침수 접수가 밀려들면서 자동차보험 보상 쪽에서 패닉 상태"라며 "침수되면 거의 전손 처리해야 해서 고급 외제차의 경우 보험사로서는 손실이 크다"고 말했다.
이처럼 이번 폭우로 손해액이 1천억원에 육박함에 따라 그동안 안정됐던 손해율을 바탕으로 제기됐던 자동차 보험료의 추가 인하는 사실상 어려워지게 됐다.
손해보험업계에서는 사업운영비를 고려할 때 자동차보험의 손익분기점에 해당하는 손해율을 80%선으로 보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 삼성화재, DB손해보험, 현대해상, 메리츠화재, KB손해보험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모두 70%대를 기록했다.
이는 올해 하반기에 대형 손해보험사들을 중심으로 자동차 보험료를 추가로 내릴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걸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이번 폭우로 대규모 손실이 발생하면서 자동차 보험료 인하는커녕 향후 손해율 상승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인상을 걱정할 상황이 됐다.
다른 손보사 관계자는 "이렇게 많은 고가 외제차들이 침수로 접수되는 경우는 매우 드문 사례로 워낙 대당 가격이 높기 때문에 자동차 보험 손해율에도 많은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면서 "모처럼 안정됐던 자동차 보험 손해율이 다시 요동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