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고질병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허리에 발생하는 질환인 허리디스크도 그중 하나.
잘못된 자세로 오랫동안 앉아있거나 허리에 무리가 가는 생활습관, 운동 부족, 유전적 요인 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난다. 허리에 부담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척추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튀어나오거나 파열되면서 주변 신경을 압박하기 때문이다.
이때 신경이 어느 정도 눌리는지에 따라 허리뿐만 아니라 엉덩이통증 및 허벅지통증도 느껴질 수 있다. 또한 다리에 저림 증세가 동반되기도 한다. 통증 및 증상이 심하지 않은 초기의 허리디스크 환자들은 비수술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진행한다.
많은 환자들은 약물 복용 및 물리치료, 운동 요법 등의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을 기대한다. 심한 통증이 있다면 주사 요법도 적용할 수 있다. 만약 일상생활을 하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의 극심한 통증이 지속되거나 하반신 마비와 같은 중증 증상이 나타난다면 허리디스크수술도 고려사항이다.
잠실 선수촌병원 이동엽 원장(신경외과)은 “관련 저서인 ‘누원장의 허리디스크 절대로 수술하지 말라’에서도 말했듯이 허리디스크가 탈출되거나 파열되어도 적극적인 치료로 급성기를 잘 넘기면 수술을 하지 않고 낫는 경우도 적지않다”며 “적기에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면 파열된 디스크가 흡수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동엽 원장은 “허리디스크수술을 받은 중증의 환자들은 수술 후에도 꾸준하게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면서 “한번 약해진 허리디스크는 지속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언제든 재발할 수 있기 때문이며, 허리디스크수술 후에는 2년마다 한 번씩 허리 상태 및 허리 관리 방법을 체크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