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율주행 상용화를 선도해온 라이드플럭스가 국내 최초로 ‘레벨4 자율주행 카셰어링’ 실증 서비스 운영에 착수하며 본격적인 상용화 단계를 밟는다.
라이드플럭스는 25일, 경기도 화성시 자율주행 리빙랩(실증도시)에서 레벨4 자율주행 기반 카셰어링 실증과 시민 대상 운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레벨4 자율주행은 차량이 운전자 개입 없이 스스로 인지·판단·주행하는 단계로, 국내 서비스 분야에서 적용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실증은 한국교통연구원이 주관하고 쏘카, 세스트, 엔제로, 한양대학교가 참여하는 국책과제 ‘자율주행 Lv.4/4+ 공유차 서비스 기술 개발’의 일환이다. 2022년 시작된 프로젝트는 단계별 기술 개발을 거쳐 2026년부터 일반 시민 대상 본격 서비스를 추진하며, 라이드플럭스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과 서비스 설계·운영 전반을 담당하는 핵심 역할을 맡고 있다.
라이드플럭스는 내년 3월부터 화성시 새솔동·남양읍·마도면 일대에서 KG모빌리티 토레스EVX 기반 자율주행 카셰어링 차량 10대를 투입해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후 2027년까지 차량을 20대 규모로 확대하며 서비스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이번 실증은 지역 거주·근무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전체험단 운영 방식으로 진행되며, 원하는 장소에서 자유롭게 차량을 빌리고 반납할 수 있는 프리플로팅 호출형 카셰어링 모델이 적용된다. 초기 단계에서는 안전요원이 동승해 주행 안정성을 확보한다.
자율주행 카셰어링 서비스는 도시 교통 구조에도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자가용 중심 이동 수요를 줄이고 차량 공유 비중을 높여 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고, 주차 공간 부족 문제를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중교통 소외지역이나 이동 약자 대상 서비스 확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실증 도시인 화성은 대규모 신도시와 산업단지가 혼재돼 있어 다양한 도심·외곽 환경에서 서비스 테스트가 가능한 점도 장점으로 평가된다.
라이드플럭스는 이번 실증 사업 외에도 전국적으로 자율주행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제주, 세종, 부산에서 운영 중인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는 누적 탑승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서울 서대문구에서도 자율주행버스 서비스를 시작했다. 향후 수도권과 주요 광역시로도 서비스 지역을 확대해 전국 단위 자율주행 교통망 구축을 추진한다는 전략이다.
강경표 한국교통연구원 자율협력주행기술연구팀장은 “자율주행 카셰어링은 도시 교통 효율성과 이동권 개선 측면에서 사회적 편익이 크다”며 “실증 서비스의 완성도를 높여 누구나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 기반 교통 환경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라이드플럭스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셔틀·버스·카셰어링 등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 중인 모빌리티 테크 기업이다. 제주·세종·부산·서울 등을 포함한 전국 거점에서 대규모 실증과 상용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형 자율주행 상용 모델 구축을 목표로 기술 고도화와 서비스 확장을 이어가고 있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