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정책

배너

정부, 디지털 심화 쟁점 8개 선정해 집중 관리한다

URL복사
[무료 등록] 최신 AI MCU 개발 트렌드와 함께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응용 방법을 소개합니다 (5/14, 코트야드 판교호텔 8층)

 

과기정통부 장관 주재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을 위한 26개 관계부처 회의 개최

파급력 높은 8개 핵심쟁점 집중 관리…3월까지 범부처 디지털 신질서 정립 추진계획 수립

 

정부가 디지털 시대의 핵심쟁점 8개를 선별해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3월까지 ‘범부처 디지털 신질서 정립 추진계획’을 발표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30일 과기정통부 장관 주재 제2차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관계부처 회의(이하 관계부처 회의)」를 개최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회의가 ‘새로운 디지털 질서’의 기본방향인 ‘디지털 권리장전’을 토대로 구체적인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밝혔다.

 

논의에 앞서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심화 시대에 범정부 대응현황을 확인하는 ‘디지털 심화대응 실태진단’을 관계부처에 공유했다. 이번 실태진단은 디지털 권리장전 제1차 관계부처 회의(10.30) 이후 약 2개월 간 진행됐다.

 

관계부처는 이번 실태진단을 통해 인공지능 개발·활용에 따른 저작권 문제, 디지털 서비스(키오스크 등) 접근성 등 소관부처를 중심으로 대응 중인 17개 분야, 52개 쟁점·현안을 도출했다. 정책연구, 해외사례 분석,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쟁점·현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고, 국내·외 사례 및 부처별 대응현황, 시사점 등을 진단했다.

 

특히, 인식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쟁점·현안 중 국민적 관심 및 파급성·시급성이 높은 핵심쟁점을 선정하고, 집중적인 사회적 공론화와 제도개선을 진행하기로 했다.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선정된 핵심쟁점은 인공지능 개발·활용에 따른 저작권 인정방안, 비대면 진료의 안정적 시행을 위한 정책방안, 연결되지 않을 권리 보호 등 총 8개 과제다.

 

정부는 디지털 질서 정립을 본격화하기 위해 3월까지 ‘(가칭)디지털 신질서 정립 추진계획(이하 추진계획)’을 수립해 실태진단에서 도출한 52개 전체 쟁점‧현안에 대한 구체적 정책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단기간에 정책방향 설정이 어려운 쟁점의 경우에는 국내외 정책 동향 분석, 공론화 등 쟁점 해소계획을 반영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쟁점별 특성에 맞춰 심층연구, 전문가 자문 및 콜로키움, 오픈포럼 등을 통해 사회적 논의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에 더해, 관계부처는 대국민 인식조사(설문조사) 결과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했다. 디지털 권리장전에 대한 국민 인지도 등을 확인하고, 디지털 심화에 대한 인식, 우려되는 쟁점 등을 조사·분석했다. 그 결과, 국민 체감도·중요도가 모두 높은 쟁점으로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 키오스크 접근성 확대 등이 확인됐으며, 이에 대해서는 추진계획에 반영하기로 했다.

 

한편, 디지털 권리장전의 중요성·필요성(94.3%, 91.5%)에 비해 대국민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18.2%)으로 나타났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실태진단 결과를 포함한 ‘디지털 권리장전 해설서’를 디지털 공론장(beingdigital.kr) 누리집을 통해 공개했다. 해설서는 디지털 권리장전의 의미와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조문별 해설·사례·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기술했다. 향후 정부기관 및 지자체, 도서관 등에 배포하고, 재외공관, 해외홍보문화원 등을 통해 글로벌 홍보·확산 노력도 지속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은 “범정부 차원에서 진행한 이번 실태진단을 통해 우리나라의 디지털 심화 대응 현황을 진단하고, 앞으로 우리가 해결해 나갈 쟁점을 정확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면서, “이제 디지털 권리장전을 바탕으로 관계부처가 함께 실제 정책을 수립하고 글로벌 차원의 새로운 디지털 질서를 이끌어 나갈 계기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