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일반뉴스

배너

복합 위기극복, 정부 대응 쉽지 않다…민간 자율적 의사결정시스템 더욱 공고히 해야

한국산업연합포럼, 글로벌산업경쟁력포럼, 한국인더스트리4.0협회 세미나 공동 개최

URL복사
[무료 등록] 최신 AI MCU 개발 트렌드와 함께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응용 방법을 소개합니다 (5/14, 코트야드 판교호텔 8층)

 

한국산업연합포럼, 글로벌산업경쟁쟁력포럼, 한국인더스트리4.0협회 3개 단체는 공동으로 「복합 산업경제 위기와 극복 방안」이라는 주제로 12일 자동차산업회관 그랜저볼룸에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오전 1대 정만기 전 회장, 2대 윤원석 전 회장에 이어 3대 회장에 선임된 글로벌산업경쟁쟁력포럼 김보수 신임 회장은 취임사에서 포럼을 세계 수준으로 발전시켜가겠다는 포부를 밝히면서 “경쟁력 지수개발, 시의적절한 정책개발, 국회·정부·기업 등 경제주체 간 소통의 장 마련과 특히 기업 간 비즈니스 활성화에 역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1부 세미나 주제 발표는 성윤모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이사장(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대한민국 산업이 나아가야 할 길: 흔들리지 않는 산업 강국」, 정만기 한국산업연합포럼 회장(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산업 여건 변화와 대응 전략」을 각각 발표했다.

 

먼저 성윤모 전장관은 세계 경제의 패러다임 변화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경제 위기의 실체를 진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우리 산업의 현주소를 짚으면서 위기 타개를 위한 산업부문 대응 방안으로 ‘전략산업 육성’, ‘글로벌 공급망 선도’, ‘산업구조·제도 혁신’을 골자로 하는 “대한민국 산업 대전환 전략”을 제시했다.

 

두 번째 주제 발표자로 나선 산업연합포럼 정만기 회장은 우리 산업을 둘러싼 여건의 변화와 관련해 “코로나19 확산 기간 동안 세계 각국 정부가 취했던 조치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는 글로벌 물가상승과 공급부족을 야기하면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어 각국은 양적 긴축이나 금리인상으로 대응해오고 있으나 이의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라면서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로선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주가 하락과 미 달러 대비 원화가치 하락에 직면하였고 금리는 가파르게 상승 중이어서 향후 경기침체와 기업 자금난 심화가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정만기 회장은 “정부 대응도 쉽지 않아 보인다”면서 “지난 정부 대규모 재정적자로 재정의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적절한 시기도 아니며 공공부문의 방만성을 감안할 때 효율적이지도 않을 전망”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문제는 시장의 유연한 대응도 쉽지 않은 점”이라면서 “정리해고가 거의 불가능한 상황에서 52시간 근로제, 비정규직 활용 어려움, 파견근로나 대체근로 불법화, 높은 최저임금 영향률 등으로 노동시장의 유연한 대응이 어렵고 중기적합업종 규제, 자가용 플랫폼 사업 규제, 사인간 임대차 계약 제한, 규제 위주 온실가스 감축 등 거미줄처럼 각 분야에 도입된 세밀한 규제들은 국민들의 환경변화에 대한 자발적, 창의적 대응도 어렵게 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만기 회장은 “위기 극복을 위한 창의성과 자기주도력이 발휘되도록 민간의 자율적 의사결정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면서 “국가가 민간의 세세한 일까지 결정해주는 방식으론 불확실한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며 “정부는 물론 입법권을 쥐고 있는 국회가 규제개혁에 적극 나서야 할 때다”라고 일침을 놓았다.

 

이어 진행된 지정 토론에서는 윤원석 메타글로브 대표를 좌장으로 김상운 태경회계법인 대표, 반원익 오스템임플란트 감사위원장, 송혜자 우암코퍼레이션 회장, 차영환 한국무역정보통신 사장 등 산업 현장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산업인이 대거 참석해 일선 경험을 바탕으로 앞서 발표한 주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특히 김상운 대표는 각종 불합리한 민간규제를 과감히 풀고 금융기관 대출조건의 선별적 완화를 주장했고 송혜자 원장은 연구개발전문업체가 활성화되면 연구소도 아웃소싱이 가능하다고 주장해 이목을 끌었다.

 

 

한편, 오후에는 한국산업연합포럼과 한국인더스트리4.0협회가 공동 주최하는 「IDX 비즈니스 글로벌 시장 선점 전략」 세미나가 2부 행사로 이어졌다.

 

오전에 진행된 세미나에서 언급된 중장기 산업 여건 변화의 큰 흐름 중 하나인 산업의 디지털화 관련 구체적 대응방안과 심층적인 토론이 진행됐다.

 

신 글로벌 공급망 출현에 대응한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시장 선점 사례들이 관련 분야 세계적 권위자를 포함 여러 발표자에 의해 소개됐다.

 

우선, 임채성 건국대학교 교수는 “하노버 메세 2022에서는 세계적으로 자신들의 기술을 시장이 따라올 수밖에 없는 기술로 만드는 움직임이 강했었다”고 밝히고 “신 글로벌 공급망 기술, 스마트 팩토리 웹 기술 등이 좋은 사례인 바, 이들 기술은 모두 미국의 OPC UA 최신 기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채성 교수는 “이들 기술은 제조업계에서 모든 기업이 따를 수밖에 없는 위치를 갖는 지배적 디자인, 사실상 표준의 위치를 ‘오픈 협업 실험(테스트 베드/데모)’를 통해 확보해 나간다”고 소개하면서, 우리나라 기업의 이들 기업과의 적극적 ‘오픈 협업 실험’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채대석 LS일렉트릭 상무이사는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서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과 테크 스퀘어 등 플랫폼 현황을 발표했다. 채대석 상무이사는 “LS일렉트릭이 특히 스마트 팩토리 사업 모델, 디지털 에너지 서비스 솔루션과 해외 사업을 백업하는 조직과 인프라 구축을 통해 글로벌 시장 확장과 선점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서 Kym Watson Fraunhofer IOSB 수석 과학자는 “공장거미줄(Smart Factory Web)기술이 세계 시장의 지배적 디자인(de facto 표준)이 되도록 발전시켜왔다”면서 공장거미줄 기술의 발전 내용을 소개하고 新글로벌 공급망(Catena-X) 관련성을 소개했다.

 

송병훈 스마트 제조혁신 센터장은 “Kym Watson 박사와의 오픈 협업 실험(테스트 베드)을 통해 세계 파트너들과 연결되고, 기술 혁신 역량을 올리는데 크게 도움이 되었다”고 협업경험을 공유했다.

 

박문구 삼정KPMG 전무이사는 “공장이 거미줄처럼 연결되고, 데이터가 물처럼 흐르도록 하는 기업과 정부의 협력 GaiaX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기업과 정책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정책적 노력(메타볼리즘)이 필요하다”면서 “글로벌 오픈 협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재의 디지털 전환 정책이 글로벌 수출 파트너를 찾고 협력하도록 하는 통상 정책과 연계되어 발전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인숙 한국GAIA-X 위원회 위원장은 우리나라 기업의 유사 사업 참여관련 애로 사항을 소개하면서 “기업이 데이터 소유권을 가져 데이터 활용에 대해 스스로 결정하게 한다든가, 보안 위험을 방지하는 룰이 정해져 있지 않아 데이터 제공업체의 데이터 개방 우려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인숙 위원장은 또 “설령 룰에 입각하여 기업이 데이터를 제공한다해도 이를 저장하는 IT 인프라도 갖춰져 있지 않아 실질적으론 데이터가 물처럼 흐르게 하기 어려운 실정”이라면서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국내에서는 세계 시장을 지향하는 Catena X 프로젝트와 같은 사업의 출현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

 

박정윤 INTERX 대표이사는 “사출 금형 관련 AI 기업으로서 지멘스 및 주요 단체를 방문하고 협력하기로 했다”며 글로벌 진출 전략을 밝혔다. 그러면서 “INTERX는 글로벌 협력을 통하여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제조 AI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AI기술과 적용사례, 글로벌 표준화 등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협력해 나감으로써 이 분야에서 글로벌 선점과 리더십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산업연합포럼 정만기 회장과 한국인더스트리4.0협회 박원주 회장의 MOU 체결식이 진행됐다.

 

양 단체는 글로벌경쟁력포럼과 함께 우리나라 산업 각 부문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공동 노력하는 한편, 복합위기 극복을 민간 부문의 다양한 소리를 발굴하고 취합해 정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공조해나가기로 했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