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일반뉴스

배너

산업연구원, “균형 발전위해 지역 간 혁신성장역량 양극화 완화해야”

지역 간 혁신성장역량 양극화 현상 경제격차로 이어질 가능성 있어
혁신성장역량 낮은 지역에 대한 정책 대응 강화해 국가균형발전 도모해야

URL복사
[무료 등록] 최신 AI MCU 개발 트렌드와 함께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응용 방법을 소개합니다 (5/14, 코트야드 판교호텔 8층)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산업연구원이 지역별 혁신성장역량을 평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지역별 혁신성장역량의 공간분포와 정책대응 기본방향’ 보고서에서 지역 간 혁신성장역량 양극화 현상은 대전·수도권과 비수도권 도(道)지역 간 경제격차 확대를 유발하면서 국가균형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혁신성장역량은 대전이 다른 지역에 비해 압도적 우위를 보이면서 전국 1위, 서울, 경기, 인천이 2~4위의 최상위권으로 분류되어 대전 및 수도권 지역으로의 쏠림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대전과 서울은 종합순위와 마찬가지로 혁신성장역량을 구성하는 혁신기반역량 및 미래산업기반역량의 2대 요인 모두에서 최고 수준인 1~2위를 유지해 17개 광역시도 중 가장 이상적인 발전패턴을 보였다.

 

반면, 최하위권인 14~17위에는 경북, 강원, 전남, 제주 등이 포함됐으며, 이중 경북, 강원, 전남의 경우는 고령화 심화 및 경제 취약지역으로 혁신성장 실현을 위한 기반이 미약한 특성을 보였다. 제주의 경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관광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진 지역으로 연구개발(R&D) 및 제조업 신산업의 기반이 아직 구축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지역 간 혁신성장역량 양극화현상이 경제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혁신성장역량을 ▲혁신성장 선도형 ▲미래산업기반 의존형 ▲혁신성장 취약형 ▲혁신기반 의존형 등 4개의 유형으로 구분했다.

 

연구원은 혁신성장역량이 매우 높거나, 매우 낮은 극단적인 유형에 속해 양극화가 심화되는 현상이 관찰된다고 밝히며 대전·수도권과 비수도권 도 지역 간의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는 양상을 보여 향후 지역 간 경제격차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정부가 2003년 이후 지역 간 경제력 격차 해소라는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균형발전정책을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해 오고 있지만, 지역 간 균형발전을 도모하려면 혁신성장역량이 낮은 지역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보고서는 “혁신성장을 통한 지역경제성장 선순환구조 전략 수립”, “기술사업화 촉진을 통한 창업활성화 및 신산업 역량 확충”, “고도화 및 다각화 중심의 신산업 육성전략 실현을 위한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 등을 주문했다.

 

보고서의 저자인 허문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혁신성장역량의 지역 간 양극화를 완화하는 것이 향후 국가균형발전 실현을 위한 핵심 이슈”라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업구조고도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 기반의 혁신성장을 통한 지역경제 선순환구조 정착, 연구개발과 창업활동·신산업 부문 간 단절현상을 극복하는 기술사업화 촉진에 정책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