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산업동향

배너

일반기계, 정밀기계 분야 ... 기계산업 생산 및 수출 견인

URL복사
[무료 웨비나] 미래의 자동차 조명을 재조명하다: Analog Devices의 혁신적인 솔루션 (5/29)

[첨단 헬로티]

 

올해 7월 기계산업 생산은 일반기계, 정밀기계업종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 대비 0.7% 증가했다. 일반기계는 반도체 공정 장비, 정밀기계는 환경분석기기를 중심으로 증가했으며, 금속제품은 해상금속구조물, 전기기계는 전기청소기, 수송기계는 벌크선 중심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기계산업(조선 제외) 생산은 2.6% 증가했다. 이와 관련, 본지에서는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자본재공제조합의 ‘기계산업 통계월보’를 바탕으로 기계산업 생산, 출하, 재고 동향 등을 정리했다.



일반기계, 정밀기계 분야 생산 호조세


기계산업 생산 현황을 업종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일반기계업종은 전용공작기계, 선박용 내연기관 등에서 감소세를 나타냈으나 반도체 공정 장비, 평판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굴삭기 등의 호조세에 힘입어 전년동월 대비 17.6% 증가했다.

전기기계업종의 경우 리튬 이차전지팩, 통신선, 수치제어장치 등은 호조세를 나타냈으나 전기청소기, 김치냉장고, 배전반, 소형 이차전지셀 등에서 부진해 전년동월 대비 4.0% 감소했다.


정밀기계업종은 환경분석기기, 전자계측기, 내비게이션, 반도체검사장비 등에 힘입어 전년동월 대비 8.1% 증가했으나, 수송기계업종의 경우 벌크선, 컨테이너선, 기타 화물선 등의 생산이 줄어 전년동월 대비 3.4% 감소했다.


그리고 금속제품업종의 경우 날붙이 제품, 섀시문 및 창틀, 건축용 금속 공작물에서 호조세를 나타냈지만, 해상금속구조물과 육상금속구조물, 용접봉, 나사제품 등의 생산이 부진해 전년동월 대비 8.3% 감소했다.


▲ 기계산업 수출·수입 동향(단위: 백만 달러, %)


기계산업 출하 … 일반기계 분야 증가, 금속제품 분야 감소


올 7월 기계산업 출하는 일반기계, 정밀기계업종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 대비 1.5% 증가했다. 일반기계는 반도체 공정 장비, 정밀기계는 환경분석기기 중심으로 증가했으며, 금속제품은 해상 금속 구조물, 수송기계는 벌크선, 전기기계는 전기청소기 중심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일반기계업종은 반도체 공정 장비, 기타 반도체 장비, 평판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굴삭기 등의 호조세에 힘입어 전년동월 대비 19.1% 증가했다.


전기기계업종의 경우 리튬 이차전지팩과 통신선, 세탁기, 회로차단기 등에서 호조세를 나타냈으나 전기청소기, 배전반, 변압기, 소형 전동기 등의 부진으로 전년동월 대비 1.9% 감소했다.


그리고 정밀기계업종은 광학렌즈, 광선치료기, 속도계, 온도조절기구 등에서 주춤했으나 환경분석기기, 전자계측기, 내비게이션, 반도체 검사 장비 등에서 증가세를 보여 전년동월 대비 9.6% 증가했다.


수송기계업종은 벌크선, 기타화물선, 컨테이너선, 중형승용차 분야의 부진으로, 그리고 금속제품업종은 해상금속구조물, 육상금속구조물, 용접봉 금속 패널 제품 등의 부진으로 각각 전년동월 대비 2.8%, 7.1% 감소했다.


모든 기계산업 재고 증가


2017년 7월 기계산업 재고는 수송기계를 포함한 모든 업종에서 증가함에 따라 전년동월 대비 6.3% 증가했다. 수송기계는 특장차, 전기기계는 전자레인지, 정밀기계는 의료용 방사선기기, 일반기계는 공기청정기, 금속제품은 스테인리스 주방용품 중심으로 증가세를 나타냈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업종의 경우 공기청정기, 정수기, 산업용공기압축기, 베어링 분야에서 증가해 전년동월 대비 4.0% 증가했고, 전기기계업종도 전자레인지, 자동제어반, 건전지 등의 분야에서 증가해 전년동월 대비 7.6% 증가했다.


그리고 정밀기계업종은 의료용방사선기기, 초음파의료기기, 치과용임플란트 등의 분야에서 증가함에 따라 전년동월 대비 6.0% 증가했으며, 수송기계업종은 특장차, 소형승용차, 차체 부품, RV 승용차의 증가로 전년동월 대비 8.5% 증가했다.


금속제품업종은 스테인리스 주방용품, 철제문, 금속패널 제품, 나사 제품 등의 증가로 전년동월 대비 3.0% 증가했다.


▲ 기계산업 생산·출하·재고 추이


금속제품을 제외한 기계산업 수출 증가


올해 7월 기계산업 수출은 금속제품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 대비 26.8% 증가한 205억 달러를 달성했다. 국가별로는 영국(68.1%), 독일(21.2%), 일본(9.0%), 미국(2.2%)에서 증가했으며, 지역별로는 유럽, 아시아, 북미에서 각각 30.1%, 14.8%, 3.1%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업종의 경우 증류기, 열교환기 및 가스발생기와 사무용기계 및 장비, 금속성형 기계 분야에서 감소세를 보였지만, 자동판매기 및 화폐교환기와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계, 반도체 제조용 기계의 호조세에 힘입어 전년동월 대비 4.3% 증가했다.


전기기계업종은 전기경보 및 신호장치, 일반용 전기 조명장치, 운송장비용 조명장치는 감소세를, 기타 전기장비, 축전지, 기타 발전기 및 전기변환장치는 증가세를 나타내 전년동월 대비 4.0% 증가했다.


정밀기계업종의 경우 시계부품과 전자기 측정, 시험 및 분석기구에서 수출이 감소했지만, 속도계 및 적산계기와 방사선 장치, 물질 검사, 측정 및 분석기구 분야에서 증가해 전년동월 대비 11.1% 증가했다.


수송기계업은 기관차 및 기타 철도차량, 자동차용 엔진 등에서 감소세를 나타냈으나 항공기, 우주선 및 보조장치, 항공기용 엔진 분야에서 수출이 증가해 전년동월 대비 54.2% 증가했다.


그리고 금속제품업종은 중앙난방보일러 및 방열기, 핵반응기 및 증기발생기, 금속단조물이 호조세를 나타내며 전년동월 대비 20.0% 감소했다.


▲ 기계산업 수출·수입 추이


올해 7월 기계산업 수입, 전년동월 대비 23.3% 증가


2017년 7월 기계산업 수입은 금속제품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 대비 23.3% 증가한 99억 6천만 달러를 달성했다.



국가별로는 일본(31.7%), 미국(28.0%), 독일(20.3%)에서 증가세를 보였으며, 지역별로는 아시아, 북미, 유럽에서 각각 27.6%, 24.3%, 18.1%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업종의 경우 용기세척, 포장 및 충진기, 반도체 제조용 기계,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계의 수입이 늘어 전년동월 대비 38.7% 증가했다.


전기기계업종은 교통 신호장치, 기타 발전기 및 전기변환장치, 방전램프용 안정기의 수입이 줄었으나 전기경보 및 신호장치와 기타 가정용 전기기기 수입이 늘어 전년동월 대비 14.7% 증가했다.


정밀기계업종에서는 사진기, 영사기 및 관련 장비, 기타 측정, 시험, 항해, 제어 및 정밀기기 수입이 늘어남에 따라 전년동월 대비 38.4% 증가했다.


그리고 수송기계업종의 경우 항공기 부품, 차체 및 특장차, 화물자동차 및 특수목적용 자동차 분야의 수입은 줄었으나 항공기, 우주선 및 보조장치, 전투용차량 및 부품 등의 수입이 늘어 전년동월 대비 5.9% 증가했다.


금속제품업종은 금속조립 구조재와 금속 캔 및 기타 포장용기, 금속파스너 및 나사의 수입은 늘었지만, 무기 및 총포탄, 기타 구조용 금속제품의 수입은 줄어들어 전년동월 대비 12.4% 감소했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