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기획특집

ESS 시장 확대일로..."2020년 15조원 규모"

  • 등록 2017.01.11 10:32:23
URL복사
[선착순 마감 임박] AI분야 특급 전문가들과 함께 AI로 우리 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AI 융합 비즈니스 개발 컨퍼런스에서 확인하세요 (5/3, 코엑스3층 E홀)

ESS 글로벌시장이 2020년에는 약 15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12월 2일,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이 개최한 ESS 온실가스저감 국제 워크숍 발표 중 산업부 유재영 사무관의 에너지저장장치 활용 촉진 정책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다.


▲ 유재영 사무관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네비건트 리서치에 따르면 최근 ESS 글로벌시장은 2016년 기준으로 약 3조원, 2020년에는 약 15조원 규모로 전망한다. 국내 ESS 시장은 2016년 기준으로 약 3천억원에서 2020년에 두배 성장한 6천억원의 규모로, 시장규모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굉장히 짧은시간에 급성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년 1,004억원, 2015년 2,399억원 그리고 2016년에 3,000억원 규모를 달성했다. ESS가 본격적으로 피크저감이나 유틸리티 등 산업에 쓰인 기간은 짧음에도 불구하고 연단위로 봤을 때 거의 두배씩 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ESS 정책을 추진하는데 특성에 맞춰 저장된 용량의 소규모에 대해서는 전기사업법 관련 규정에 따라서 ESS 저장용량 1,000kWh 이하 생산된 전력을 한전과 직접 거래하고 있다. 또 ESS를 갖고 수요받은 거래로 급전지시를 이행할 수 있거나 이와 관련되서 전력거래소에 감축 가능용량이 1MWh 이상으로 입찰수 있는 ESS를 활용하도록 법적으로 제도화를 마련한 상황이다.


또 산업부는 온실가스 감축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신재생과 연계해 방전시 공급인증서 가중치를 부여했다. 신재생과 결합된 ESS에 대해서는 공동 가중치를 신재생 설비 풍력보다 좀 더 높게 줬다. 2015년도에는 5.5, 2016년에는 5.0, 2017년에는 4.5를 부여하는 것으로 고시가 되어 있다. 이밖에도 ESS를 여러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시범적인 사업과 보조사업도 다양하게 추진을 했다. 


정부 지원사업을 통해 2015년까지 54개소에 55.4MWh의 ESS 구축을 지원했고 ESS 전체 설치비의 70%를 지원을 하기도 했다. 그리고 설치 후 추적관리를 함으로써 해당 사용 전체 전력의 피크 저감을 5%~9%정도, 전기요금도 그에 해당하는 만큼 절감하는 효과를 확인했다. 정부는 2008년부터 본격 기술개발을 추진해 2015년까지 1,860억원 정도를 투입해 ESS에 관련된 기술, 고효율 에너지저장장치의 기술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왔고 ESS용 LiB는 상용화 기술을 확보했다. 


세계 ESS 시장 글로벌 정책


글로벌 ESS 시장 흐름에 맞춰 미국, 일본, 유럽에서도 ESS와 관련된 여러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미국은 캘리포니아주에서는 2024년 1.3GW의 설치를 목표로 2014년부터 전력사업자별 ESS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중대형ESS 설치시 20%∼30%의 투자세액 감면을 실시한다.


일본에도 ESS 설치보조금을 지원하는 정책을 수립했다. 대부분 가정용 ESS가 설치가 되어 있어 비상전원 용도로 활용돼 이에 따른 설치 보조금을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다. 


유럽은 각국 정부의 실증과 보급확대  중심의 대형 프로젝트 추진한다. 독일과 프랑스는 태양광 주택의 리튬이온전지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중이며 최근 영국에서도 에너지저장기술 보급 프로그램 운영을 시작했다.


국내에서는 전력 산업 전반으로 ESS 적용을 확대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에너지를 다소비하는 공장이나 사업장이나 산업단지 등 대규모 수용가는 ESS를 피크 저감용이나 비상전원 대체용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전용요금제, 저장전략 판매를 허용하거나 건축물 비상전원을 대체하려는 방안을 내놓고 있다.


또 여러 가지 환경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비상발전기를 대체한 ESS도 활용 가치가 있다. 2016년 5월에 국민안전처와 협의해 국민안전처의 고시규정에 따라 ESS도 비상발전기를 대체해 비상전원으로 쓰일 수 있도록 지금 제도가 마련이 됐고, 실제로 디젤 비상 발전기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ESS 만으로 비상전원이 사용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정부에서도 최근에 태양광, 풍력발전, 등 신재생 발전에 대한 여러 가지 대책들을 발표한바 있으며 신재생에너지가 확대될수록 ESS도 그에 대한 활용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송전망과 관련되서도 ESS를 활용해 안정적인 계통 운영하는 정책 또한 지난 3년간 해왔다. 앞으로 2017부터는 배전망에서도 ESS를 활용해서 배전선로에 과부하가 있거나 배전선로에 전압이 초과해 계통 접속이 어려운 지역에 ESS를 활용하는 것도 검토중이다.


국내 ESS 산업육성을 위한 제도 개편 및 보급 확산을 위해 ESS 활용 촉진 전기요금제는 2016년 4월에 도입돼 2026년까지 향후 10년간 적용키로 했다. 


계시별 요금제 대상 수용가에게 ESS 활용해 경부하 시간대에 전기를 저장하고 피크시간대에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전기요금 할인혜택을 부여하는 것이다. ESS 설치 용량 만큼 기본요금 할인, ESS 사용량만큼 추가 할인 혜택이 있다. 또 ESS 활용 촉진 전기요금제는 2020년까지 가정에서도 누진제가 아닌 계절별 시간대별 전기요금이 차등 적용되는 것을 지금 검토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가정에서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SS 전력 거래 허용에 대한 제도 또한 마련돼 2017년 1월부터 ESS 저장전력을 전력거래소에 판매하는 것을 허용한다. ESS에 대한 저장 전력을 중앙급전과 비중앙급전을 통해 전력거래소에 거래할 수 있다. 2015까지는 풍력에 연계된 ESS에 대해서 REC라는 공급인증서를 부여를 했지만, 2016년 9월부터는 태양광과 연계된 ESS 전력에 대한 공급인증서 가중치도 부여한다. 


공공기관의 ESS설치 의무화


ESS에 대한 확산 취지에서 공공기관의 ESS설치 의무화를 2017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신축 건물은 2017년부터 바로 적용을 받고, 공공기관의 기존 건물은 계약 전력 용량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적용된다. 계약 전력 1,000kW 이상 기관을 해당 전력 5% 이상을 ESS로 설치해야 된다. 현재 기존 건물의 약 1,000여개소가 지금 ESS 설치 대상 건물이다. 공공기관 밑에 발전사와 한전에서도 신재생과 연계되거나 피크저감, 비상전원용 ESS를 선제적으로 투자해 구축중이다. 또 한전의 주파수 조정용 ESS도 2017년에 약 30MWh 규모로 설치될 예정이다. 


정부는 국민안전처에서 법적으로 허용해 디젤 비상 발전기를 대체한 ESS를 허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적극 장려를 하고 있고 2017년부터는 비상전원용 ESS 설치시 50%의 보증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2016년에는 ESS 설치 비용의 50%를 지원했던 반면, 2017년에는 피크저감용 ESS에 대해서 보조금 지원 비율이 30%로 하향되고 비상전원용 ESS에 대해서는 50% 보조 지원을 할 계획이다. 


김연주 기자(eltred@hellot.net)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