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산업동향

배너

[5G 이동통신 융합기술의 시장성 분석(2)]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동향

  • 등록 2016.04.25 13:45:53
URL복사
[무료 웨비나] 미래의 자동차 조명을 재조명하다: Analog Devices의 혁신적인 솔루션 (5/29)

[5G 이동통신 융합기술의 시장성 분석(1)] 스마트TV와 사물인터넷 기술동향

[5G 이동통신 융합기술의 시장성 분석(2)]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동향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 시장동향


(1) 스마트워치의 시장 잠재력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수요가 둔화되고 단가 하락 등 시장 성장률이 저하되면서 모바일 기기 제조사 등 ICT 기업들은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그중 스마트폰과 직접 연동 가능한 스마트워치 시장에 글로벌 ICT 기업들이 진출하면서 시장규모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초기 스마트워치 시장은 단순 모니터링 기능이나 피트니스 기능 등을 통해 일부 소수의 사용자층을 대상으로 판매 및 서비스해 왔으나 스마트 미디어기기 제조사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에 적극 가세하면서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14]


스마트워치의 잠재적 시장규모에 대한 예측은 시장조사기관마다 다른 전망치를 제시하고 있다. 


커낼리스(Canalys)는 글로벌 매출 규모를 2014년 500만 대로 예측한바 있으며, 가트너는 70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바 있다. 이들 전망치 모두 2014년 10억 대 이상의 매출규모가 예상되는 스마트폰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수준이다[15][16].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의 애널리스트들의 공통적인 의견은 스마트워치들이 미적 감각이 뛰어나거나 그다지 멋스럽지 못하다는 것이다. 특히 스마트밴드 등 피트니스 및 스포츠 활동을 위한 실용성과 착용감에 포커스를 맞추어 생산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미적 감각과 실용성을 모두 갖춘 수요 니즈를 반영한 스마트워치 제조사들의 노력이 요구된다.


(2) 스마트워치 글로벌 시장규모

스마트워치 글로벌 시장규모는 2013년 약 1억달러, 2015년 111억달러에서 2018년에는 622억달러의 대규모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중 애플의 매출액이 2014년 1억6,000만달러, 2015년 5억2,000만달러, 2016년 11억2,000만달러, 2017년 20억2,000만달러, 2018년 32억8,000만달러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애플의 시장 점유율은 2014년 10월 아이워치의 출시를 기점으로 향후 5년간 글로벌 시장의 40~5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글로벌 스마트워치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스마트워치의 가장 큰 시장인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아이폰 수요자가 매우 많아 아이워치가 출시되면 단기간에 선두권을 차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14][17][18].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가장 많은 수요자 층을 확보하고 있는 스마트워치의 글로벌 시장규모 추이를 <표 4>에 나타낸다.


▲ 표 4. 스마트워치 글로벌 시장규모 추이


(3) 웨어러블 디스플레이기기 적용률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는 기판의 형태에 따라 Rigid, Flexible, Stretchable 디스플레이로 구분할 수 있다. 글로벌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기기 매출액 추이에 맞추어 각 디스플레이의 적용률을 보면 2014년 매출액 중에서는 Rigid 디스플레이가 70% 이상, Flexible 디스플레이는 약 26%를 차지하고 있다.


2023년 매출액 중에서는 Rigid 디스플레이가 약 10%까지 하락하고 Stretchable 디스플레이가 약 30%, Flexible 디스플레이가 약 50%까지 상승하면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19][20]. 전반적으로 보면 Flexible 디스플레이가 전 기간에 걸쳐 강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3). 2014~23년까지 기판 형태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매출액 추이를 <표 5>에 나타낸다.


▲ 표 5. 기판형태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매출액 점유율 추이_2014~23


(4) 디스플레이 기술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 시장 추이

웨어러블 전자기기는 몸에 착용할 수 있어 신체의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사용자의 생각과 소통할 수 있다. 용도와 주요 기능 및 착용 부위에 따라 적절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필요하며, 신체에 밀착된 형태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Flexible 혹은 Stretchable 디스플레이가 적합한 형태가 될 것이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기기 적용률과 디스플레이 기술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 시장성은 5G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기술과 관련된 여러 사양과 성능을 결정하는 요인이 될 수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기술 적용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글로벌 매출액은 2014~19년까지는 10억달러 미만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후 2020년을 기점으로 Flexible 및 Stretchable 디스플레이 기술의 적용과 함께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액을 기록하기 시작하면서 2023년에는 231억 달러의 대규모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19][20]. 2014~23년까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기기의 매출액 추이를 <표 6>에 나타낸다.


▲ 표 6. 글로벌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기기 매출액 추이


스마트워치의 애프터마켓(After market)이라고 할 수 있는4) NFC 기술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거래의 2014년 글로벌 시장규모는 전체 모바일 결제 거래액(1조1,300억 달러)의 32.7%인 3,700억달러의 대규모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울러 2015년에는 약 85% 이상의 휴대폰에 NFC 기능이 탑재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21][22].


결언


5G 이동통신 시스템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스몰 셀 및 릴레이 등 다양한 형태의 셀과 통신 방식들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매우 다양한 융합 기술들과 접목될 수 있어 주파수가 혼재되어 매우 복잡한 상황이 전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대용량 MIMO 시스템 및 이동 펨토 셀 등은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주파수 효율성 문제는 모바일 통신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이기 때문에 5G 시스템뿐만 아니라 3G 및 4G-LTE(A) 셀룰러 네트워크에서도 범용의 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에 적용할 수 있어 지속적인 기술(성능)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5G 이동통신 시스템 관련 국제표준화의 경우 양적으로는 성장했으나 질적인 성장은 아직 미진한 편이다. 


ITU-T의 기고서 제출 순위는 2위(1위는 중국), 국제의장단 의석은 3위(1위는 미국, 2위는 중국), 표준특허 보유 수는 6위(1위는 미국, 2위는 일본, 3위는 핀란드, 4위는 프랑스, 5위는 독일)를 기록하고 있다[23].


5G 이동통신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단말 분야와 함께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기반 기술 등(CPND) 분야에서도 균형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기가코리아(Giga KOREA) 구축 사업을 계획대로(2013~20년까지 8년) 차질 없이 추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5G 이동통신 산업발전전략 및 핵심 서비스 실현 계획대로 2017년 세계 최초 시범 서비스에서부터 2020년 이후 글로벌 생태계 주도 등 선도형 R&BD를 추진할 수 있도록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 


‌‌1) ‌IPTV/디지털 케이블/스마트TV/N-스크린 등으로 다양화되는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미국 NCTV와 국내 KCTA 전시회 등에서 시연한바 있다.


2) ‌기존의 JAVA 기반 표준 미들웨어에서 웹 기반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웹 기반의 스마트TV라고 함은 TV에 웹브라우저를 띄워서 인터넷 콘텐츠를 TV상에서 소비하는 수준이 아니라 다양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하는 미들웨어 성격의 환경을 의미한다.


3) ‌미국 캘리포니아의 Imprint Energy사는 손목 착용을 위한 기기에 사용되는 플렉시블한 극박막의 아연-폴리머 축전지를 개발하여 웨어러블 전자기기, 의료기기, 스마트 라벨 및 환경용 센서 등 제조회사에 판매하고 있다(KISTI 미리안-글로벌동향브리핑, 2014.7).


4) ‌스마트워치에 내장된 NFC 기능을 앱(App)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업그래이드 함으로써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After market이라고 할 수 있다.



박세환 박사 _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